1분기말 2조5천168억달러, 42억달러↑…이차전지 등 직접투자도 157억달러↑
벳16 5분기만에 감소…외국인 증권투자 증가 등 때문

서학개미의 힘…벳16증권투자 1조달러 돌파·금융자산 역대 2위

1분기말 2조5천168억달러, 42억달러↑…이차전지 등 직접투자도 157억달러↑

벳16 5분기만에 감소…외국인 증권투자 증가 등 때문

벳16
서학개미의 힘…벳16증권투자 1조달러 돌파·금융자산 역대 2위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2024.12.13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송정은 기자 = '서학개미'를 비롯한 국내 투자자(개인·기관)의 해외 주식 매입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벳16 증권투자가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외국인의 한국 증권 투자(대외금융부채) 증가로 다소 줄었지만, 작년 말에 이어 1조달러를 웃돌았다. 벳16 한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벳16
벳16 금융자산·부채 현황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3월 말) 기준 우리나라 벳16 금융자산(벳16투자)은 2조5천168억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말(2조5천126억달러)보다 42억달러 많고, 최대였던 지난해 3분기 말(2조5천277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 규모다.

특히 벳16자산 가운데 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118억달러)가 한 분기 사이 176억달러(지분증권 +54억달러·부채성증권 +122억달러) 불어 처음 1조달러를 넘어섰고, 직접투자(잔액 7천784억달러) 역시 이차전지 관련 투자 등을 중심으로 157억달러 늘어 최대 기록을 세웠다.

벳16부채(외국인 국내투자·1조4천328억원)도 222억달러 늘었다.

비(非)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8천650억달러)가 301억달러(지분증권 +215억달러·부채성증권 +86억달러), 직접투자(잔액 2천911억달러)도 41억달러 각각 증가했다.

이처럼 벳16부채 증가 폭이 벳16자산 증가 폭을 웃돌면서, 우리나라 순벳16자산(벳16자산-벳16부채)은 1조840억달러로 3개월 사이 181억달러 줄었다.

다섯 분기만의 감소지만, 작년 4분기 말 사상 처음 '벳16자산 1조달러 흑자국' 반열에 오른 뒤 두 분기 연속 1조달러대를 유지했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미국 증시 조정으로 거주자의 평가액은 줄었지만 해외주식 투자 자체가 늘었고, 금리 인하 기대와 안전자산 선호 경향에 따라 해외 채권 투자도 확대됐다"며 "다만 국내 주가 반등에 따른 외국인의 평가 잔액 증가와 장기 채권 중심 투자 등이 이어지면서 벳16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더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벳16 채권·채무 현황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의 1분기 말 기준 벳16채권(1조513억달러)은 작년 4분기 말보다 87억달러 줄었다. 국민연금과의 통화스와프 등에 따라 준비자산(외환보유액 총액)이 59억달러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벳16채무(6천834억달러)는 105억달러 늘었다.

벳16채권과 벳16채무는 우리나라 거주자의 해외 투자에 해당하는 '벳16 금융자산', 외국인의 국내 투자에 따른 '벳16 금융부채'에서 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지분·주식(펀드 포함)·파생금융상품을 뺀 것이다. 결국 가치가 유동적인 주식 등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에서 규모가 확정된 벳16 자산과 부채만을 말한다.

벳16채권에서 벳16채무를 뺀 순벳16채권은 3천679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192억달러 감소했다.

벳16채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의 비중은 21.9%로 작년 4분기 말보다 0.1%포인트(p) 커졌고,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36.5%)도 1.2%p 높아졌다.

박 팀장은 "국민연금과의 통화스와프로 줄어든 준비자산은 다시 늘어나기 때문에 감소가 일시적 현상"이라며 "과거 수준과 비교해도 현재 외채 건전성이나 벳16 지급 능력은 모두 양호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보도자료에서 "외채 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이라며 "국내은행의 외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도 1분기 말 기준 152.9%로 규제 비율인 80%를 크게 웃돌고 있다"고 강조했다.

shk999@yna.co.kr, sje@yna.co.kr

저작권자 © 한민족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