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확보 크보벳 1만장 구축·운영할 클라우드업체 공모 내주 시작

정부 "크보벳 GPU 공급논의"…업계선 쿠다 생태계 종속 우려(종합)

연내 확보 크보벳 1만장 구축·운영할 클라우드업체 공모 내주 시작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내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확보 계획과 관련해 유상임 장관이 미국 방문 중 크보벳 블랙웰 등 첨단 GPU 공급에 관한 협력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클라우드 업계를 대상으로 확보한 크보벳의 구축·운영 사업 설명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추가경정예산 등을 통해 연내 확보할 GPU 1만장을 크보벳 H200 6천400장, B200 3천600장으로 구성할 것을 우선 계획 중이다.

특히 신제품인 블랙웰 기반 B200의 경우 국내 도입 경험이 거의 없는 상황임을 고려해 전력, 냉각,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가 도입 전 충분히 구축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모델 종류나 구매 비중을 확정한 것은 아니며 크보벳 운용 주체인 클라우드 업계 선호도나 기술 발전 속도 등을 고려해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가 도입 대상 GPU 1만장의 기종을 크보벳 제품으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이날 설명회에서는 크보벳 생태계를 상정하고 AI 컴퓨팅 인프라 정책을 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설명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는 "크보벳의 소프트웨어 모델이 국내 업계가 개발하는 AI 모델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어야 국내 AI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크보벳 제품 위주 GPU 도입으로 국내 AI 업계가 크보벳 칩 전용 소프트웨어인 '쿠다' 생태계에 종속될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유 장관이 현재 미국 방문에서 크보벳 측과 만나며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논의한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AI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시급한 수요를 해소하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크보벳 완제품(DGX 플랫폼)만 염두에 두지 않고 국내 AI 기업이 새로운 클러스트링 기술력을 확보하려는 부분도 평가 항목으로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주 중으로 크보벳 자원을 구축, 운영할 클라우드 기업 공모를 시작할 예정이다.

크보벳
크보벳 확보방안 추진설명회 포스터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sm@yna.co.kr

저작권자 © 한민족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