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역·농산물 개방…다음주 '한미 관세 홀덤' 본격화
[앵커]
3주 만에 다시 만난 한국과 미국의 통상 수장이 관세 홀덤의 핵심 통상 현안을 6개로 추렸습니다.
다음주 본격적인 2차 기술 협의에서 미국 측의 요구가 구체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진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제주 APEC 통상장관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USTR 대표.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지난달 '2+2 고위급 관세 협의' 이후 3주 만에 만났습니다.
한미 양국이 진행 중인 '줄라이 패키지'의 핵심 통상 의제를 좁히고 일정을 구체화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저와 그리어 대표는 다음주에 제2차 기술협의를 개최하는데 합의했으며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기술 협의 분야는 균형무역과 비관세 조치, 디지털 교역, 원산지 등 6개.
사실상 그동안 미국이 한국에 줄곧 불만을 표시해왔던 분야를 총망라했습니다.
다음주 본격적으로 기술협의에 들어가면 농축산물 시장 개방과 구글맵 규제 철폐 등 미국 측의 노골적인 요구가 드러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우리 정부는 기재부, 산업부, 과기부, 농식품부 등 범부처 대표단이 워싱턴 D.C로 향할 예정입니다.
관세 홀덤과 별개로 산업 협력도 진전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조선 산업 협력에 대한 미국 측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그리어 대표와 국내 조선사 경영진의 단독 면담으로 다시 확인됐습니다.
홀덤을 서둘러 타결하고 싶어하는 미국 측을 방어하기 위한 설득작업도 있었습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했고요. 불필요하게 홀덤을 지연을 하는게 아니라는 점도 본인들(미국 측)도 이해를 잘 하고 있습니다."
<배진솔기자>"한미 양국의 관세 홀덤 윤곽이 조금씩 잡히고 있습니다. 주요 결정은 다음달 대선 이후인 차기 정부에서 이뤄질 예정이지만, 그 전까지 최대한 홀덤력을 키워둔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취재 박태범]
[영상편집 박창근]
[그래픽 김두태]
연합뉴스TV 홀덤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