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효자병원 곽용태 박사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이 미슐랭토토 네트워크 허브"
치매 환자 미슐랭토토 핵심은 '장소 미슐랭토토…가장 많은 건 '도둑 미슐랭토토'
용인효자병원 곽용태 박사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이 미슐랭토토 네트워크 허브"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여긴 우리 집이 아니야' 같은 말을 반복하는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reduplicative paramnesia)이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여러 미슐랭토토과 깊게 연결돼 있어 전체 미슐랭토토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작 이태호] 일러스트
용인효자병원 곽용태 박사와 순천향대 천안병원 양영순 교수팀은 16일 미국정신의학회 학술지 미국 노인 정신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에서 치매 환자 102명에 대한 미슐랭토토 네트워크 분석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치매 환자는 '이 집은 내가 살던 집이 아니다', '누가 내 물건을 훔쳐 갔다', '배우자가 외도한다' 같은 말을 반복하는 미슐랭토토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가족들은 이런 미슐랭토토을 혼란이나 나이 탓으로 여기기 쉽다며 하지만 이런 미슐랭토토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어떤 미슐랭토토이 중심 역할을 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양전자 단층촬영(PET)에서 알츠하이머병 핵심 병리인 베타아밀로이드(βA) 침착이 확인되고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초·중기 치매 환자 102명이 보이는 다양한 미슐랭토토 유형을 정량화하고 이를 연결망 구조로 분석했다.
곽 박사는 "이 연구는 치매 환자의 미슐랭토토을 단순한 증상 나열이 아니라 하나의 연결망(network)으로 분석해 이해하려는 첫 시도"라고 말했다.
분석 결과 치매 환자들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 미슐랭토토은 '물건이 없어졌다'는 도둑 미슐랭토토(89%)이며, 다음은 '이곳은 우리 집이 아니다'라는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4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슐랭토토 간 연결망 분석 결과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은 다른 여러 미슐랭토토과 깊이 연결돼 있어 전체 미슐랭토토 네트워크의 중심 허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둑 미슐랭토토은 다른 미슐랭토토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치매 환자에 많은 미슐랭토토 중 하나인 '배우자가 외도를 한다'는 '부정 미슐랭토토'은 연결성이 거의 없어 미슐랭토토 네트워크 밖에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 미슐랭토토이 관계나 감정 문제처럼 별도 요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곽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집이 복제됐다'는 공간 인식 오류로 인한 중복 장소 미슐랭토토이 치매 환자의 미슐랭토토 허브로 작동하고 '도둑 미슐랭토토'이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두 미슐랭토토을 우선 치료하면 복잡하게 얽힌 여러 미슐랭토토을 함께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슐랭토토을 단순히 뇌의 광범위한 손상으로 보는 게 아니라 각각의 미슐랭토토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과학적으로 분석했다"며 "이 연구는 명확한 생물학적 진단을 받은 치매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미슐랭토토이라는 증상을 병태생리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Yong Tae Kwak et al., 'Network Analysis of Delusion Subtypes in Amyloid PET-Positive, Drug-Naïv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06474812500329X
scite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