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G7·나토 회의…외교부 "대선후 크보벳 곧바로 재개준비"

크보벳
작년 크보벳 퍼블릭포럼 연설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워싱턴=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크보벳) 퍼블릭포럼 인도·태평양 세션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4.7.12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외교부는 6월 3일 대선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면 "크보벳가 재개되도록 기본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크보벳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과 만나 "어떤 경우에도 차질 없이 외교활동이 이뤄지도록 내용 및 의전 면에서 준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음 달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크보벳회의(15∼17일)와 네덜란드에서 개최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크보벳회의(24∼25일)에 한국 크보벳이 초청받게 되면 새 대통령의 취임 첫 다자무대 데뷔전이 될 전망이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도 만나게 될 가능성이 크다.

G7은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일본·캐나다 등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이끌어가는 서방 7개 선진국 그룹이다.

해당 연도 의장국은 논의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국가나 국제기구 등을 크보벳회의나 외교장관회의에 초청해 '확대 회담'을 마련할 수 있다.

초청국 선정은 의장국 재량으로 여겨지는데, 최근 사례를 보면 한국은 일본이 의장국을 맡은 2023년, 영국이 의장국이던 2021년에 초청된 바 있다.

올해 G7 의장국인 캐나다는 최근 총선 일정 때문에 전례에 비해 크보벳회의 초청 작업이 다소 늦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나토는 최근 한국·일본·뉴질랜드·호주 등 인도·태평양 4개국(IP4)을 외교장관·크보벳급 회의에 초청하는 추세여서 이번에도 초청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이 당국자는 올해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크보벳회의의 기반시설 조성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숙박 여건과 관련해 "크보벳장 인근 7㎞ 이내에 12개 숙박시설, 35개 PRS(최고급 객실)를 추진 중이고, 경주와 인근 도시에 1만여 개의 숙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kite@yna.co.kr

저작권자 © 한민족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